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13년 작품입니다. 원제는 'そして父になる'이며 영어로는 'Like Father, Like Son'입니다. 이 영화는 가족의 의미와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 영화는 생후 6년이 지난 후에야 두 아이가 병원의 실수로 바뀌어 태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 두 가족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아이들의 생물학적 부모와 실제로 길러준 부모 사이에서 무엇이 진정한 부모의 역할과 의미인지, 그리고 가족이란 무엇인지를 조명합니다.
이 영화는 히로카즈 감독 특유의 자연스러우면서 섬세한 연출이 돋보입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다양한 상을 받았으며, 칸 영화제에서는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줄거리: 아이가 바뀌었다.
영화는 매우 현실적으로 묘사됩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사실적 묘사가 과하지 않게 녹아 있습니다.
산부인과 병원에서 아이가 바뀌는 상황.
그걸 인지하지 못한 채 6년이란 세월을 함께 살아가는 가족.
영화 같은 현실이지만 어쩌면 지금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아주 담담하게 보여줍니다. 영화에서도 밝혔듯이 예전에는 종종 일어났던 일이지만 지금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입니다. 신생아가 바뀌는 일은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고, 저녁 뉴스에 주요 뉴스로 소개될 만한 특별한 사건입니다. 영화에서는 아이가 왜 바뀌었는지에 대한 이유를 병원의 과실이나, 의료진의 실수가 아니라, 개인의 일탈로 설명합니다. 그 일탈의 배경에는 가족의 해체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있었고, 그 박탈감을 다른 가족에게 상처를 주는 것으로 표현된 것으로 묘사됩니다. 결국, 가족의 상처는 또 다른 가족의 상처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을 감독은 말하고 있습니다.


영화는 사뭇 대조적인 두 가정을 가장인 아버지를 중심으로 보여줍니다.
실패라는 단어를 모르는 듯 인생에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는 ‘료타’. 대기업에서 잘 나가는 엘리트 회사원으로 도쿄 중심가의 아파트에서 살고 있습니다. 서울이나 도쿄나 중심가에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부와 성공을 쌓아 올리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설정입니다.
아내 아내 '미도리'와 아들 '케이타'와 함께 평범한 중산층 가정을 꾸리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료타는 승부욕이 강한 자신에 비해서 모든 면에서 발전적이거나 경쟁심이 보이지 않는 아들 '케이타'의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이 태어났던 산부인과 병원으로부터 연락을 받습니다. 6년간 키운 아들 '케이타'가 자신들의 친자가 아니고 병원에서 바뀐 아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때 남편 ‘료타’와 아내 ‘미도리’의 반응이 묘하게 다르게 나타납니다.
‘미도리’는 엄마로서 자식을 키우는 동안 눈치채지 못한 것을 자책하는 반면 ‘료타는 자신처럼 능력과 승부욕이 없어 보였던 '케이타'가 자신의 진짜 아들이 아니었음에 묘한 안도감을 느낍니다.

"역시 그랬군...” - 료타
“그런데 왜 여태 깨닫지 못했을까? 난 엄마인데.”
“다들 내 얘기 뭐라고 안 했어? 엄마면 그 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미도리
“그런 말 없었는데” - 료타
“당신도 사실은 그렇게 생각하지?” - 미도리
“생각 안 해” - 료타
“거짓말, 내 탓이라 생각하면서.” - 미도리

또 다른 가족은 도교 근교에서 소박하게 보이는 전파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여유 있어 보이지는 않으나 낙천적인 아버지 ‘유다이’는 바뀐 아들 ‘류세이’와 밑으로 남동생과 여동생과 친구처럼 지냅니다.
문제 해결 방식은 각자의 가치관을 대비적으로 보여줍니다. ‘료타’는 자신이 해왔던 방식대로 돈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유다이’는 어른들이 개입해서 풀어내기보다는 순리대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유다이는 아이들이 스스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자라온 환경의 차이를 좁히려고 두 가족은 정기적으로 만나면서 서로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제 와서 저쪽 애 아버지가 되겠다고?” - 친구
“일단 옆에 두고 보지 뭐. 내 피를 받았으니 어떻게든 되겠지.” - 료타
“피를? 자네 의외로 구식이군 그래.” - 친구
“구식 신식 문제가 아니라 아버지란 그런 거야.” - 료타
“그게 구식이란 거야. 뭐 자넨 원래 아버지 콤플렉스였으니” -친구
“싱거운 소리는” -료타

결국 아이들은 원래의 생물학적 부모가 키우는 것으로 결정합니다.
하지만 핏줄이기 때문에 서로 금방 닮아가고 현실에 적응할 것이라는 ‘료타’의 예상은 빗나갑니다. 자유로운 가족 문화와 자상한 아버지 밑에서 자란 ‘류세이’는 엄격한 규율의 아버지 ‘료타’와 낯선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끝내 가출을 하게 됩니다. ‘케이타’는 생물학적 아버지 ‘유다이’와 어머니, 그리고 동생들이 싫지 않지만, 원래 가족을 계속 그리워합니다.


"료타씨는 나보다 젊으니까 애랑 같이 있을 시간을 더 만들지 그래요." - 유다이
"여러 형태의 가족이 있는 것도 괜찮잖아요." - 료타
"목욕도 같이 안 한다면서요?" - 유다이
"우리는 뭐든 혼자서 하게 하는 방침이거든요." - 료타
"방침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그런 걸 귀찮아하면 안 돼요.
지난 반년 동안만 봐도 케이타가 료타씨보다 나랑 더 많이 있었어요." - 유다이
"시간만 중요한 건 아니죠." - 료타
"무슨 소리예요? 시간이죠. 애들한텐 시간이에요." - 유다이
"내가 아니면 안 되는 일이 있어서요." - 료타
"아버지란 일도 다른 사람은 못하는 거죠." - 유다이
"우리 아버지는 애들과 같이 연날리기하는 사람이 아니었어요." - 료타
"하지만 그런 아버지 흉내 안 내도 되잖아. 류세이랑은 꼭 해줘." - 유다이
"네" - 료타


‘료타’는 가족에 대한 공감은 아버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류세이’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늘려가며 아버지가 된다는 것을 조금씩 이해해 갑니다. 그럴수록 ‘료타’는 ‘케이타’의 빈자리를 느끼게 되고, 결국 ‘케이타’를 되찾기 위해 유다이의 집으로 찾아가게 됩니다.

Point of Review
영화는 열린 결말로 끝납니다. 아버지가 되는 것은 결론이나 결말이 있는 일이 아니라는 감독의 메시지입니다.
아버지가 되는 것은 굉장히 복잡하고 개인적인 선택입니다. 이는 또한 책임감, 애정, 헌신, 그리고 자신의 행동과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그것을 다른 존재에게 전달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아버지가 되는 것은 자신이 어떤 부모가 되고 싶은지, 어떤 가치를 자신의 자식에게 전달하고 싶은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합니다. 물론, 이것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종종 어려움과 실패, 그리고 성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이러한 고민을 잘 드러내는 영화입니다. 아버지로서의 책임과 사랑, 그리고 가족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통해 우리는 진정한 부모로서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이 영화는 아버지가 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며, 누구에게나 아버지가 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깊이 생각하게 합니다.


매미가 여기서 알을 낳아 유충이 땅에서 나와 부화할 때까지 15년 걸렸어요.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 가면을 쓴다] 줄거리 (0) | 2023.05.19 |
---|---|
시간을 초월한 첫사랑의 감동, 영화 “러브레터” 리뷰 (3) | 2023.05.17 |
영화 “머니볼” 줄거리, 도전과 용기, 그리고 혁신의 이야기 (0) | 2023.05.09 |
비의 계절, 죽음을 넘어서는 사랑 이야기 <지금 만나러 갑니다> 줄거리 (0) | 2023.05.04 |
메타버스의 미래와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0) | 2023.05.03 |
댓글